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교과과정

HOME 학부소개교과과정

교과과정

안전융합학부 전공 교과과정표

교과과정
학년
·
학기
교과목명
(영문명)
학점
·
강의
·
실습
이수
구분
1·1 안전공학개론
(Introduction to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3-3-0 전선
1·1 자연과학개론
(Introduction to Natural Science)
3-3-0 전선
1·2 안전방재역학
(Safety & Disaster Prevention Dynamics)
3-3-0 전선
1·2 방재 CAD
(CAD for Disaster Prevention)
3-2-2 전선
2·1 안전법규
(Safety & Health Regulation)
3-3-0 전선
2·1 열유체역학
(Thermo & Fluid Dynamics)
3-3-0 전선
2·1 전기공학개론
(Introduction to Electrical Engineering)
3-3-0 전선
2·1 위험물 관리론
(Management of Hazardous materials)
3-3-0 전선
2·1 토질및기초역학
(Soil and Foundation Engineering)
3-3-0 전선
2·2 전기회로이론
(Electrical Circuit Theory)
3-3-0 전선
2·2 화학안전공학
(Chemical Safety Engineering)
3-3-0 전필
2·2 재료역학
(Mechanics of Materials)
3-3-0 전선
2·2 구조안전공학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3-3-0 전필
2·2 지반안전성조사
(Site Characterizaation for Soil Safety)
3-3-0 전선
3·1 기계안전공학
(Mechanical Safety Engineering)
3-3-0 전필
3·1 전기안전공학
(Electrical Safety Engineering)
3-3-0 전필
3·1 인간공학
(Human Factors Engineering)
3-3-0 전선
3·1 재난안전빅데이터
(Human Factors Engineering)
3-3-0 전선
3·1 안전공학실험(I)
(Experiments on Safety Engineering (I))
3-2-2 전선
3·2 산업안전공학
(Industrial Safety Engineering)
3-3-0 전필
3·2 빅 데이터실무
(Big Data Practice)
3-3-0 전선
3·2 방화공학
(Fire Protection Engineering)
3-3-0 전선
3·2 안전공학실험(II)
(Experiments on Safety Engineering (II))
3-2-2 전선
3·2 건설재료 및 시공학
(Material and Construction)
3-3-0 전선
4·1 안전통계학
(Safety Statistics)
3-3-0 전선
4·1 화재위험성평가
(Fire Risk Assessment)
3-2-2 전선
4·1 시스템안전공학
(System Safety Engineering)
3-3-0 전선
4·1 IoT 프로젝트
(IoT Projects)
3-3-0 전선
4·1 공정안전관리
(Disaster Prevention for Urban areas and Planning)
3-3-0 전선
4·2 재난관리총론
(Introduction to Emergency Management)
3-3-0 전선
4·2 피난시뮬레이션
(Evacuation Simulation)
3-2-2 전선
4·2 안전성평가
(Safety Assessment Theory)
3-3-0 전선
4·2 방폭공학
(Explosive Protection Engineering)
3-3-0 전선
4·2 창업캡스톤디자인
(Venture & Capstone Design)
3-2-2 전선

1학년 1학기 교과과정

안전공학개론 (Introduction to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제조 및 서비스업 등 각 산업현장에 배속되어 산업재해 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을 수행하며,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 사항, 유해 및 위험방지에 관한사항, 사고사례 분석 및 개선에 관한사항, 근로자의 안전교육 및 훈련에 관한 업무수행을 위한 기초지식을 습득한다.
자연과학개론 (Introduction to Natural Science)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과학적 사고와 기술적 창의력이 과학기술의 발전에 어떤 역할을 하였고, 또 어떤 방향으로 진전될 것인가에 대한 주요 문제를 자연과학사적으로 탐구하여 자연의 이치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는 사고력을 함양한다. 본 과목은 과학 비전공 학생을 위한 개론 수준의 교과로서 배경 지식이 부족한 학생들도 수강할 수 있도록 서술적이고 분석적인 과학의 관점에서 개념이해 및 원리이해가 가능한 과목이다.

1학년 2학기 교과과정

안전방재역학 (Safety & Disaster Prevention Dynamics)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힘의 원리를 통해 역학의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자유물체도를 통해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해결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연속체에서 힘을 받고 있는 물체의 평형의 원리에 대해 학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충분한 예제와 연습문제를 통해 응용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은 연속체의 동역학 해석의 근간이 되어 힘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될 과목이다. 또한 공학의 기초가 되는 과목으로 힘과 모멘트의 기본개념을 익히고 구조계의 형평조건을 이해하며 구조물에 적용을 통한 활용을 유도한다. 공학의 기본적인 적용을 위한 도심과 단면 2차 모멘트와 같은 형상의 특성도 이해하고 적용한다.
방재 CAD (CAD for Disaster Prevention)
  • 학점-강의-실습 : 3-2-2
  • 강의 개요 :전산 제도의 기본 프로그램인 Auto CAD의 기본 활용방법을 익히고 실습한다. 강의 위주의 교육이 아닌 실무 위주의 교육을 위해 기계, 전기, 소방, 건설, 화공 분야에서 사용하는 규정화된 배관 및 관부속류에 대한 도시기호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순서를 이해하고 습득한다.

2학년 1학기 교과과정

안전법규 (Safety & Health Regulation)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안전법규에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중심으로 학습하고, 자연재난 및 사회재난과 관련된 주요 법률들을 학습한다. 특히,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산업안전보건법, 환경정책기본법, 위험물안전 관리법,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등의 주요 내용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열유체역학 (Thermo & Fluid Dynamics)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열유체역학은 열역학과 유체역학으로 구성되며, 화학안전, 기계안전 및 소방안전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전공교과목이다. 열역학에서는 물질의 상태량, 열역학 제1과 2법칙의 개념 및 활용을 배운다. 또한 유체역학에서는 유체의 정의, 압력 및 유동의 개념, 베르누이 방정식과 파이프 유동의 개념이 설명된다. 마지막으로 층류 및 난류 유동의 개념 및 활용에 대하여 학습한다.
전기공학개론 (Introduction to Electrical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전기공학의 기초 개념을 기반으로 수동소자에 대한 개념과 직렬 및 병렬회로에 대해 배운다. 직류와 교류회로의 정의와 전기에너지의 생성원리에 대해 다루며, 기본적인 전기 물리량에 대한 계측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전력 전송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을 다루며, 시퀀스 제어 등에 대해 학습한다.
위험물 관리론 (Management of Hazardous materials)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 위험물이나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사건 사고가 발생하고 이에 대한 초동대처 미흡으로 인해 인적, 물적 피해가 대단위로 발생하고 있다. 사고의 예방을 위해 소방관계법규에서 정의하고 있는 위험물 분야의 물질 분류 및 관리방법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사고 발생시 초기 대처방법을 습득한다. 또한 위험물분야와 화학안전분야에서의 물질의 분류방법을 비교하고 이해할 수 있다.
토질및기초역학 (Soil and Foundation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구조물의 근간이 되는 지반 하부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흙의 기본적인 성질에 대해 학습하고 이를 통해 안전한 구조물이 설계 및 시공될 수 있도록 주요 내용을 익힌다. 건설재료에 활용되고 있는 흙을 분류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하고, 암석, 자갈, 모래, 실트 그리고 점토로 구분하여 각각의 개별적인 주요 특성이 어떠한지에 대해 이해한다. 또한 다양한 흙이 섞여 하나의 매체로 구성될 경우 혼합토의 거동도 이해할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최종적으로는 상부 구조물 설계 시 혹은 터널, 옹벽, 사면 등의 지반 구조물 설계 시 각 구조물 특성에 적합한 지반상태 안전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과 이를 통해 안전한 설계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2학년 2학기 교과과정

전기회로이론 (Electrical Circuit Theory)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전기회로의 기본인 전압, 전류 및 전력에 대한 개념을 기초로 직렬 및 병렬회로를 해석하기 위한 방법을 학습한다. 전기회로에서의 대표적 수동소자인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에 대한 물리적 이해와 직류 및 교류에서의 응답특성과 충·방전 등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발전기의 기본 원리를 배우고 교류회로의 페이저, 유효 및 무효전력, 복소 전력에 대한 이해와 이를 기반으로 역률(power factor) 개선의 원리에 대해 학습한다. 주파수 응답, 라플라스 및 퓨리에 변환 등에 대해 배우고 전력시스템의 구성요소인 변압기, 케이블, 차단기, 결선방법, 단상 및 3상 시스템의 구성과 적용에 대한 전공능력을 함양한다.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회로의 구성요소와 반파 및 전파 정류회로의 특성과 리플, 직류 출력전압의 산출방법에 대해 익힌다.
화학안전공학 (Chemical Safety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산업과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현재 세계적으로 화학물질이 약 1,200만 여종이 존재하며 매년 2천여 종의 새로운 화학물질이 개발되어 상품화 되고 있다. 이런 다양한 종류의 화학물질의 안전관리를 위해 물질의 분류 및 관리 방법과 초동대처 및 예방을 위한 시스템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한다. 또한 화학안전분야와 위험물분야에서의 물질의 분류방법을 비교하고 이해할 수 있다.
재료역학 (Mechanics of Materials)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구조물 및 기계설비는 외부로부터 하중을 담당하게 되고 재료내부는 응력과 변형이 발생된다. 주로 변형체에서 발생되는 수직-전단-비틀림 응력과 변형율의 관계 및 보의 휨 특성을 학습한다. 구조물에 작용하는 다양한 하중상태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학습하고 축방향 하중을 받는 부재 및 구조물의 변위 (처짐)을 학습한다. 또한 굽힘을 받는 보의 경우는 전단력과 굽힘모멘트를 학습해서 보의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응력과 변형률관계를 후크의 법칙으로 정리하고 변환식과 모어의 응력원과 변형률원의 작도법과 활용법을 익히게 된다.
구조안전공학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구조물에 작용하는 힘의 원리를 이해하고 역학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할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자유물체도를 통해 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부재의 응력 분포도를 학습하고 이를 통해 시계열에 따른 변위 및 처짐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이해한다. 구조안전공학에서는 주로 정정 구조물에 관련된 내용을 학습하며 이를 통해 교량, 보, 터널 등의 다양한 구조물 해석에 응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방법론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건설분야의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가시설물의 응력분포도 함께 공부하여 건설현장의 사고를 절감시킬 방안에 대해 이해한다.
지반안전성조사 (Site Characterizaation for Soil Safety)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지반의 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다양한 지반조사 방법들이 이용되고 있으며 조사 방법의 원리 및 해석방안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통해 지반의 안전성과 연계된 학습을 수행한다. 지반조사 방법은 시추공 방법과 시추공이 없이 수행되는 표면 조사 방법으로 구성되면, 시추공 방법에서는 표준관입시험, 콘 관입 시험 및 딜라토 미터 시험등의 관입 시험을 위주로 수업이 진행된다. 또한 표면 조사 방법은 주로 비파괴 조사 방법으로 불리는 내용으로 탄성파 탐사과 전기비저항 탐사를 통해 지반 하부 구조를 살펴볼 수 있는 기법에 대해 학습합니다. 뿐만 아니라, 도출 된 값은 구조물 설계 물성치로 활용될 수 있도록 연계방안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3학년 1학기 교과과정

기계안전공학 (Mechanical Safety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기계안전공학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과 연관된 기계산업의 공정을 이해하고, 안전교육 및 사고예방에 대한 세부적인 규정 등을 학습한다. 구체적으로 공작기계 및 목가공기계등의 작업안전, 프레스 작업안전, 연삭기 및 지게자의 안전, 양중기 등 산업용 로봇의 안전, 보일러, 압력용기 및 롤러기의 안전 그리고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등을 학습한다.
전기안전공학 (Electrical Safety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안전공학 및 전기회로의 기본개념을 기반으로 전기재해에 대해 학습한다. 전기화재 및 폭발, 누전, 정전기 및 유도장애에 대한 이론 및 개념의 확립에 중점을 둔다. 또한 전기회로에서의 접지, 고장의 종류 및 해석방법에 대해 강의한다. 또한 전기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대책에 대해 학습한다.
인간공학 (Human Factors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인간의 신체적 인지적 특성을 고려하여 인간을 위해 사용되는 물체, 시스템, 환경의 디자인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기존보다 사용하기 편하게 만드는 응용학문으로 인간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법과 문제 해결을 연구한다. 인간공학은 인간의 능력과 한계가 양립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시스템을 디자인하는데 이용되며, 인간공학의 목적은 작업장의 모든 환경요소를 포함한 시스템을 디자인하여 최상의 능률을 올릴 수 있도록 탐구한다.
재난안전빅데이터 (Human Factors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4차 산업혁명을 위한 기반조성 요소기술인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생명공학기술 및 빅데이터의 기본을 이해하고, 데이터 분석 및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빅데이터의 도래의 사회경제적 및 기술적 환경 및 빅데이터 활용분야를 익혀 재난관리 분야 및 안전관리 분야에서 빅데이터 분석의 유용성을 파악하고 재난안전 빅데이터 활용사례를 파악한다.
안전공학실험(I) (Experiments on Safety Engineering (I))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건설안전 분야의 주요 사고 원인에 대해 학습하고 이를 실제로 이해하기 위한 실험이 진행된다. 안전공학 실험 교과목을 통해 다양한 문제에 대해 인지하고 이를 통해 안전한 설계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건설안전에 관련된 구조체 및 지반 물성값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여 구조물이 어떻게 거동하고 지반의 특성이 변화하면 거동변화에 따른 붕괴사고 발생을 이해한다. 또한 건설현장의 시공과정 중에 발생하는 상태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이해하고 건설안전분야에 활용되고 있는 각종 계측 센서들의 원리, 측정 방법 및 분석체계를 이해한다.

3학년 2학기 교과과정

산업안전공학 (Industrial Safety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산업의 다양화 및 대형화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사고의 예방을 위해 안전관리, 산업심리,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기계위험 방지기술, 전기위험 방지기술, 화학설비 및 위험방지기술, 건설안전 분야, 산업안전보건법 등에 대한 개별 구성 요소를 이해하고 습득하여 산업안전 분야에서 필요한 기초지식을 쌓는다.
빅 데이터실무 (Big Data Practice)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빅 데이터 분석 도구의 기본적 기능과 사용법을 알고, 프로그래밍 및 분석 방법을 습득하여 데이터 분석처리, 시각화, 대용량 데이터 분산처리 실무 능력을 갖춘다. 또한 빅데이터 공통기반 및 활용에 대해 알고 정책정보를 토대로 상황분석, 대안의 발명, 분석, 평가 및 미래예측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사례를 분석한다. 본 과목은 텍스트 자료 및 네트워크 자료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며, 웹스크래핑을 비롯한 자료의 처리 및 기초를 분석하며 분석도구로 R을 사용한다.
방화공학 (Fire Protection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방화공학에서는 화재진압 활용에 관한 기초 및 관련이론을 설명한다. 화재역학에 대한 기본 및 수학적 이론과정을 중심으로 연소, 화재성상, 화재성장단계, 확산 등 화재거동에 관련된 전반적인 이론을 소개한다. 화재 및 연소의 개념, 연소생성물, 화재 하중, 화재로 인한 열전달현상, 화재확산, 연소속도, 연기의 생성 및 제연, 화재패턴 등을 다룰 뿐 아니라 기타 화재거동 및 제어에 필요한 내용도 다룬다.
안전공학실험(Ⅱ) (Experiments on Safety Engineering (Ⅱ))
  • 학점-강의-실습 : 3-2-2
  • 강의 개요 : 전기회로이론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전기회로에서 사용되고 있는 옴의 법칙, 키로히호프의 전압 및 전류법칙, 페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 등의 적용에 대해 실험을 통해 확인한다. 미지의 전기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어 지고 있는 휘스톤브릿지 회로에 실험을 통해 학습한다. 전기적인 물리량을 측정하기 위한 기본 계측기인 멀티미터와 오실로스코프, 클램프 미터의 사용법에 대해 익히고 함수발생기의 동작 원리에 대해 익힌다. 옥내 저압전선로의 단상 및 3상에 대한 이해와 감전으로부터 보호되기 위해서는 올바른 접지시스템의 설치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 접지의 설치방법과 접지 저항계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대해 실험을 통해 익힌다. 이론을 기반으로 실험을 통해 전기안전관리 업무에 필요한 지식들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시뮬레이션 해석 방법의 습득을 통해 전문지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건설재료 및 시공학 (Material and Construction)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 건설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재료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각 재료 활용 시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안전성을 학습한다. 또한, 건설현장에서 각 재료 활용 시 특별하게 고려해야 할 내용을 토대로 재료에 따른 시공방법도 이해한다. 건설 분야의 재료는 주로 시멘트, 골재, 물, 모래 등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재료가 배합되어 서로 다른 특성 및 거동을 보이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시료 특성에 따라 건설현장의 활용성을 공부하여 건설 단계에 따른 이용 방안을 모색한다. 건설산업은 공사기간이 상당히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므로 건설산업의 시계열에 따른 공사 방법에 대해 공부하고 각 종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방법론과 이를 위해 필요한 부분에 대해 학습한다.

4학년 1학기 교과과정

안전통계학 (Safety Statistics)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안전통계학의 기본적인 이론을 이해하고, 일반통계부문의 평균치와 산포도, 정규분포 및 그 외 분포 및 분석법 등을 포함하며, 실습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 처리, 분석 및 평가하는데 필요한 통계기법을 습득한다. 또한 국민안전을 위협하는 생활안전사고 통계처리 및 안전사고 예방과 감소를 위한 통계활용 등에 관해 익힌다. 본 과목에서는 통계조사과정과 실측방법의 문제에 접근하며 층화다단추출법, 회귀추정 중복추출법, 시계열상의 표본추출법, 비표본오차 등에 대해 다룬다.
화재위험성평가 (Fire Risk Assessment)
  • 학점-강의-실습 : 3-2-2
  • 강의 개요 :화재 등 재난발생의 가능성, 재난의 규모 등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예측 분석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소방시설의 종류 등 대책을 세우는 일련의 과정을 강의한다. 구체적으로 최근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성능위주소방설계의 개념 및 관련 내용이 설명된다. 화재위험성평가의 방법론 측면에서 화재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화재 발생 시 인명안전기준에 따른 허용피난시간(ASET)의 예측방법을 학습한다. 이를 위해 화재시뮬레이션 수행시 요구되는 수치해석 및 화재역학적 이론이 강의된다.
시스템안전공학 (System Safety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안전관리에 사용하는 시스템과 이와 연관된 체계를 운영함에 있어서 위험요소를 식별하고 위험요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완화, 제거 등을 할 수 있는 안전관리기법에 대해서 연구한다. 안전관리의 기본철학과 사고방지의 기법을 조사하고, 안전공학의 기본개념을 도입하여 사고의 현상을 하나의 확률현상으로 파악함과 동시에 인적, 물적 요인이 이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며 안전대책의 유효성 및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대비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IoT 프로젝트 (IoT Projects)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IoT기반 재난예방 및 안전 모니터링 기술에 대해 이해하고, 팀을 구성하여 IoT 재난 사례분석 및 팀별 실무 프로젝트 주제를 선정하고 기획한다. 아두이노의 기본함수, 문법, 명령어, 코딩, 라이브러리 등을 익히고, 팀별 주제 구현에 필요한 예제를 작성한 후 팀 단위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공정안전관리 (Disaster Prevention for Urban areas and Planning)
  • 학점-강의-실습 : 3-2-2
  • 강의 개요 : 건설산업은 기획 - 발주 - 설계 - 감리 - 시공으로 구성되며 단계적으로 각 건설 주기에서의 역할과 책무가 달리 적용된다. 각 건설 단계에서 차이점을 학습하고 산업안전보건법과 건설기술진흥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역할과 책무에 대해서 학습한다.설계 부분에서는 시공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별도로 수행하고 있는 내용에 대해 학습하고 특히 설계안전성검토와 설계안전보건대장의 구성 및 실습을 통해 이해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건설 분야의 사고 발생 비율이 가장 높은 시공 분야에 대해 중점적으로 학습하고 각 건설현장마다 구별되는 주요 공정과 이를 육성하기 위한 단계적인 안전보건 관리에 대해 이해한다.

4학년 2학기 교과과정

재난관리총론 (Introduction to Emergency Management)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재난관리총론은 안전공학분야에서 요구되는 기본적인 자연 및 인적 재난을 중심으로 재난관리 과정(재난완화, 재난준비, 재난대응, 재난복구에 관한 이론)을 소개한다. 구체적으로 재난 및 재난관리의 개념, 재난의 유형, 재난의 특징, 재난관리의 단계, 재난관리체계 등을 다룬다. 또한 재난관리와 유사한 위기관리에 관한 내용도 포함한다. 위기관리의 개념, 특징, 단계, 체계 등을 설명하고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테러에 관한 기본적 내용을 학습한다.
피난시뮬레이션 (Evacuation Simulation)
  • 학점-강의-실습 : 3-2-2
  • 강의 개요 :화재, 테러 등으로 인한 건축물 내부에서 피난현상 및 요구피난시간(RSET)을 산출하기 위한 이론 및 실습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FDS+EVAC)의 사용법을 소개하고, 피난시뮬레이션에 포함된 기본적인 이론 및 입력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직접 3차원 건축물을 대상으로 통계적인 재질자의 정보를 활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며, 다양한 건축물에서 피난시뮬레이션을 통해 피난설계의 개념을 습득한다.
안전성평가 (Safety Assessment Theory)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시스템 또는 인적 손실 잠재 위험성을 사전에 분석하고 상호관련성 또는 발생 메커니즘의 규명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종합적인 안전대책을 강구하는 과학적이고 공학적인 활동에 관한 연구를 한다. 시스템의 비정상적인 작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장애 상태를 기반으로 특정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에 적합한 소프트웨어 수준을 결정하고 기능 상실과 오작동의 영향을 분석한다. 고장 상태 분류를 식별하고 소프트웨어 레벨을 결정할 때 불리한 환경조건 및 아키텍처 계획과 같은 외부 요인을 고려하면서 위험성 평가와 안전 대책을 수립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방폭공학 (Explosive Protection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 : 3-3-0
  • 강의 개요 : 각종 산업설비는 복잡하며 대형화되고 있고, 제조공정은 국한되고 고속화가 요구되고 있다. 폭발사고는 예상하지 않은 시간, 장소, 모습으로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은 물론이며 그 외의 지역주민에게도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어 사회적으로도 커다란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폭발사고의 방지를 위한 예방 및 방지대책 뿐 아니라 폭발가능한 물질의 안전관리에 관한 지식을 학습한다.
대학·대학원